📑 목차
매년 봄철부터 참진드기에 의한 감염병 중증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 바이러스)이 발생하여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참진드기는 봄부터 활동을 시작해서 가을 9월까지는 활동이 왕성하니 봄이 지났다고 해도 안심해서는 안됩니다. 이에 참진드기 감염병을 어떻게 예방하고 관리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참진드기 매개 감염병이란? 예방할 수 있을까?
1.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가진 진드기가 풀숲에 있다가 사람에게 붙어서 발생합니다.
2. 논밭에서 농작업을 하거나, 등산, 캠핑, 나물 채취등 야외활동을 할 때 참진드기가 주로 활동을 합니다.
3. 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잘 지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참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1. 옷을 제대로 입기.
참진드기로 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모자,긴팔,토시,목이 긴 양말, 목수건, 장갑, 긴바지, 장화 등 최대한 살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몸이 수풀과 안 닿도록 돗자리나 방석을 깔고 앉는다.
2. 참진드기 기피제를 뿌리기. 기피제 종류도 여러가지가 많습니다.
3. 풀숲에 오래있지 말고 최대한 피한다.
4. 야외활동 후 반드시 씻고 옷을 세탁한다. 목욕 또는 전신 샤워하면서 진드기가 몸에 붙어 있는지 확인하고 작업복이나 등산복은 세탁한다.
참진드기 매개 감염병 관리수칙
1. 증상을 살핀다 : 고열/오한/두통/근육통/오심/구토/설사 등 위험활동 후 2주 이내 발생하는지 증상을 살핀다.
2. 참진드기에 물린 흔적이 있는지 꼼꼼히 찾아본다.
3. 증상이 있거나 물린 흔적이 발견되면 즉시 인근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치료한다.
요약 및 마무리
참진드기는 매년 봄부터 가을까지 활발히 활동하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과 같은 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방수칙만 잘 지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질병입니다. 외출 시 긴 옷 착용, 기피제 사용, 풀숲 피하기, 귀가 후 샤워와 세탁은 필수이며,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질병관리청의 예방, 관리법 영상도 함께 보시면 참진드기 감염병에 대한 경각심을 느끼고 예방을 확실히 하실 수 있겠습니다.
참진드기 감염병, 미리 알고 철저히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진드기, 50대이상에겐 치명적! 산행 전 꼭 필요한 예방수칙! (0) | 2025.04.16 |
---|---|
침샘 보톡스 효과·주기·가격·후기 총정리, 침샘 보톡스 맞기 전에 꼭 알아야 한다!🔥 (0) | 2025.04.12 |
침샘 보톡스 시술 후 리얼 후기 & 혜택 총정리! (0) | 2025.04.11 |
베트남 홍역 증상과 예방접종 – 홍역, 당신도 감염 위험이 있을까요? (0) | 2025.04.10 |
건강보험 EDI 서비스 오류, 이것만 따라 하면 건강보험EDI 서비스 오류 해결! (로그인·전송·인증서 문제 완벽 정리) (0) | 2025.04.04 |